공공임대는 5,10년 분양전환을 목적을 가지고 있는 임대와 분양에 대한 목적 없이 공간을 대여해주는 것에 대한 2가지 방식으로 임대를 해주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청약통장이 소멸이 되는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부분이기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공공임대 핵심전략
공공임대는 분양전환 목적을 대부분 가지고 있는데 문제는 최근에 이슈가 된 10년 분양에 대한 부분이다. 10년 전에 3억 원이었는데 10년 후 10억이라면 결과적으로 주변 시세를 따라갈 수 박에 없어서 결과적으로 10년이라는 시간을 거주하고도 너무 비싼 금액으로 분양을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연출이 된다.
공공임대 분양 유의사항
공임대에서 분양에 대한 선택을 하기 전에는 확실한 정보를 알고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양전환을 목적을 가지고 공공임대 5 or 10년에 신청을 했다면 여기에서 참고해야 하는 것은 '청약통장' 소멸에 대한 부분이다.
첫 번째로 자신이 원하는 타입의 집이 아닐 수도 있고 또 5년 or 10년이 지났는데 분양가를 파악해보니 생각보다 높아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수준이 안된다고 한다면 여기에서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집이 아니고 분양가도 높아서 포기하려고 한다면 재당첨에 대한 5~7 년의 기간도 있을 것이고 그사이에 일반적인 민간청약을 넣을 기회도 사라지기에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하는 상황도 생긴다.
공공임대 5 or 10년에 신청을 하지 않았더라면 5년이라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을 수도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내가 원하는 지역에 그 시간 동안 일반적인 민간 쪽에 분양을 신청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청약통장을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을 꼭 참고해서 그 기간 동안에 생길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여러 가지로 고민을 해볼 필요성이 있다.
청약 소멸의 리스크
공공임대 5년 or 10년으로 들어가기 전에 앞에서도 언급을 했듯이 청약에 대한 소멸에 대해 얘기를 했었다.
소멸에 대한 관점에서 또 하나 바라보게 돼야 하는 것은 공공임대라는 부분에서 바라보게 되는 기존의 입주민들의 시선이고 동이 따로 만들어져 있기에 공공임대로 내 집 마련을 했다고 하더라도 시선에서 자유로워지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실제로 공공임대로 들어간 입주민들은 제외하는 상황도 있었고 또 무엇보다 거주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수준에 대한 부분도 있었기에 공공임대를 분양받겠다고 생각하고 들어갔다가 이곳에서 오랜 시간 거주하는 것이 불편하다고 판단해 나오는 사람들도 있었다.
입주를 하고 나오게 되면 결과적으로 청약통장이 소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고 앞에서 언급한 상황을 인지하고 민간청약을 넣었다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기에 본인에게 어떤 선택이 더 도움이 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이다.
댓글